2003년 CONCACAF 골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3년 CONCACAF 골드컵은 멕시코의 멕시코시티, 미국의 마이애미와 폭스보로에서 개최되었다. 멕시코가 브라질을 결승전에서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헤수스 아레야노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득점왕은 왈테르 센테노와 랜던 도너번이 차지했고, 오스왈도 산체스가 골든 글러브를, 미국이 페어플레이 상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멕시코 - 유엔 부패 방지 협약
유엔 부패 방지 협약은 2003년 유엔 총회에서 채택되어 부패 예방, 범죄화, 국제 협력을 통해 부패와 싸우는 것을 목표로 하며, 191개 당사국이 비준하고 이행 검토 메커니즘을 통해 각국의 이행 상황을 검토한다. - 2003년 CONCACAF 골드컵 - 2003년 UNCAF 네이션스컵
2003년 UNCAF 네이션스컵은 중앙 아메리카 축구 연맹 소속 6개국 국가대표팀이 파나마에서 개최한 축구 대회로, 코스타리카가 우승하여 과테말라, 엘살바도르와 함께 2003 CONCACAF 골드컵에 진출하였다. - 2003년 CONCACAF 골드컵 - 2003년 CONCACAF 골드컵 예선
2003년 CONCACAF 골드컵 예선은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이 2003년 CONCACAF 골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카리브 지역, 중앙아메리카 지역 예선 및 플레이오프를 거쳐 본선 진출팀을 선발하는 대회이다. - 2003년 7월 - 2003년 유럽 폭염
2003년 유럽 폭염은 유럽 대륙에 기록적인 고온 현상을 일으켜 인명 및 경제적 피해를 초래하고 유럽 각국의 기온 기록을 경신하며 폭염 대비책 마련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사건이다. - 2003년 7월 - 2003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2003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다이빙,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오픈 워터 수영, 수구, 수영의 5개 종목으로 개최되었으며 미국이 종합 1위를, 수영 종목에서는 알렉산드르 포포프와 이언 소프가,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에서는 러시아와 일본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3년 CONCACAF 골드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CONCACAF 골드컵 |
연도 | 2003년 |
다른 명칭 | Copa de Oro de la Concacaf 2003 Copa de Oro de la Concacaf 2003 (에스파냐어) |
![]() | |
개최국 | 멕시코 미국 |
개최 기간 | 7월 12일 ~ 7월 27일 |
참가 팀 수 | 12개국 |
참가 연맹 | 2개 |
경기장 수 | 3개 |
도시 수 | 3개 |
대회 결과 | |
우승 | 멕시코 (4회 우승) |
준우승 | 브라질 |
3위 | 미국 |
4위 | 코스타리카 |
총 경기 수 | 20경기 |
총 득점 | 50골 |
개인 수상 | |
최다 득점자 | 왈테르 센테노 (4골) 랜던 도너번 (4골) |
최우수 선수 | 헤수스 아레야노 |
최우수 골키퍼 | 오스왈도 산체스 |
페어 플레이 상 | 미국 |
대회 통계 | |
이전 대회 | 2002 |
다음 대회 | 2005 |
2. 경기장
2003년 CONCACAF 골드컵은 미국과 멕시코의 3개 도시에서 개최되었다.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
멕시코 | 미국 | |
---|---|---|
멕시코시티 | 마이애미 | 폭스버러 |
에스타디오 아스테카 | 오렌지 볼 | 질레트 스타디움 |
수용 인원: 105,000명 | 수용 인원: 72,319명 | 수용 인원: 68,756명 |
![]() | ![]() |
2. 1. 경기장 목록
2003년 CONCACAF 골드컵 예선은 중앙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에서 별도로 진행되었다. 중앙아메리카 지역은 2003년 UNCAF 네이션스컵을 통해, 카리브해 지역은 CFU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본선 진출국을 결정하였다. 북미 지역 3개국은 자동 진출하였다.
3. 예선
3. 1. 본선 진출국
자동 진출한 3개국은 다음과 같다.
2003년 UNCAF 네이션스컵을 통해 중앙아메리카 지역 4개국이 진출하였다.
카리브해 지역 예선을 통해 카리브해 지역 3개국이 진출하였다.
초청국은 다음과 같다.
팀 | 예선 | 출전 횟수 | 최근 출전 | 최고 성적 | FIFA 랭킹[2] |
---|---|---|---|---|---|
북미 지역 | |||||
멕시코 | 자동 진출 | 7회 | 2002 | 우승 (1993, 1996, 1998) | 11 |
미국 (TH) | 자동 진출 | 7회 | 2002 | 우승 (1991, 2002) | 9 |
캐나다 | 자동 진출 | 6회 | 2002 | 우승 (2000) | 78 |
카리브 지역은 CFU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진출 | |||||
자메이카 | A조 우승 | 5회 | 2000 | 3위 (1993) | 48 |
쿠바 | B조 우승 | 3회 | 2002 | 조별 리그 (1998, 2002) | 63 |
마르티니크 | 예선 라운드 | 3회 | 2002 | 8강 (2002) | N/A |
중앙 아메리카 지역은 2003 UNCAF 네이션스컵을 통해 진출 | |||||
코스타리카 | 우승 | 6회 | 2002 | 준우승 (2002) | 18 |
과테말라 | 준우승 | 6회 | 2002 | 4위 (1996) | 65 |
엘살바도르 | 3위 | 4회 | 2002 | 8강 (2002) | 85 |
온두라스(1949) | 예선 라운드 | 6회 | 2000 | 준우승 (1991) | 42 |
기타 | |||||
브라질 | 초청 | 3회 | 1998 | 준우승 (1996) | 1 |
콜롬비아 | 초청 | 2회 | 2000 | 준우승 (2000) | 22 |
4. 선수 명단
대회에 참가하는 12개 국가대표팀은 18명의 선수로 구성된 선수 명단을 등록해야 했으며, 이 명단에 포함된 선수만 대회에 참가할 자격이 있었다.[1]
5. 조별 리그
2003년 CONCACAF 골드컵 조별 리그는 4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2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A조에서는 멕시코와 브라질이, B조에서는 콜롬비아와 자메이카가 각각 8강에 진출했다.
5. 1. A조
멕시코es와 브라질pt이 8강에 진출했다.2003년 7월 13일 | 멕시코 1 - 0 브라질 | (에스타디오 아스테카, 멕시코시티) |
2003년 7월 15일 | 브라질 2 - 1 온두라스 | (에스타디오 아스테카, 멕시코시티) |
2003년 7월 17일 | 멕시코 0 - 0 온두라스 | (에스타디오 아스테카, 멕시코시티) |
5. 2. B조
콜롬비아와 자메이카가 8강에 진출했다.[1]일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
2003년 7월 12일 | 콜롬비아 | 1 – 0 | 자메이카 | 오렌지 볼, 마이애미 |
2003년 7월 14일 | 자메이카 | 2 – 0 | 과테말라 | 오렌지 볼, 마이애미 |
2003년 7월 16일 | 콜롬비아 | 1 – 1 | 과테말라 | 오렌지 볼, 마이애미 |
5. 3. C조
C조의 경기는 모두 미국 매사추세츠주 폭스버러에 위치한 질레트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2003년 7월 11일, 미국은 엘살바도르를 2-0으로 이겼다.[1] 7월 13일, 미국은 마르티니크를 2-0으로 이겼다.[2] 7월 15일, 엘살바도르는 마르티니크를 1-0으로 이겼다.[3]
이 조에서는 미국과 엘살바도르가 8강에 진출했다.
5. 4. D조
Group D영어에서는 코스타리카와 쿠바가 8강에 진출했다. 세 팀 모두 승점 3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득실차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6. 결선 토너먼트
2003년 CONCACAF 골드컵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8강전에서는 미국, 코스타리카, 브라질, 멕시코가 각각 승리하여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준결승전에서는 브라질이 미국을 연장전 끝에 2-1로, 멕시코가 코스타리카를 2-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3·4위전에서는 미국이 코스타리카를 3-2로 이기고 3위를 차지했다. 결승전에서는 멕시코가 브라질을 연장전 끝에 1-0으로 누르고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팀 1 | 득점 | 팀 2 |
---|---|---|
미국 | 5 – 0 | 쿠바 |
코스타리카 | 5 – 2 | 엘살바도르 |
브라질 | 2 – 0 | 콜롬비아 |
멕시코 | 5 – 0 | 자메이카 |
브라질 | 2 – 1 (연장전) | 미국 |
멕시코 | 2 – 0 | 코스타리카 |
미국 | 3 – 2 | 코스타리카 |
멕시코 | 1 – 0 (연장전) | 브라질 |
6. 1. 8강전
2003년 CONCACAF 골드컵 8강전은 2003년 7월 19일과 7월 20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7월 19일, 미국은 질레트 스타디움에서 열린 쿠바와의 경기에서 랜던 도너번의 4골과 스티브 랠스턴의 1골을 묶어 5-0 대승을 거두었다.[1] 같은 날 코스타리카는 엘살바도르를 상대로 5-2 승리를 거두었다.[2] 왈테르 센테노가 2골(2번 모두 페널티킥)을 넣었고, 에릭 스콧, 스티븐 브라이스가 각각 1골씩 추가했다. 엘살바도르는 힐베르토 무르가스와 알프레도 파체코가 득점했다. 브라질은 마이애미 오렌지 볼에서 열린 콜롬비아와의 경기에서 카카의 2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3]
- 7월 20일, 멕시코는 에스타디오 아스테카에서 자메이카를 상대로 5-0 대승을 거두었다.[4] 오마르 브라보, 라파엘 가르시아 토레스, 다니엘 오소르노, 하레드 보르헤티, 후안 파블로 로드리게스가 득점했다.
일시 | 장소 | 팀 1 | 득점 | 팀 2 | 비고 |
---|---|---|---|---|---|
2003년 7월 19일 | 질레트 스타디움, 폭스버러 | 미국 | 5 – 0 | 쿠바 | 랜던 도너번 4골, 스티브 랠스턴 1골[1] |
2003년 7월 19일 | 질레트 스타디움, 폭스버러 | 코스타리카 | 5 – 2 | 엘살바도르 | 왈테르 센테노 2골(페널티킥 2골), 에릭 스콧, 스티븐 브라이스 각 1골[2] |
2003년 7월 19일 | 마이애미 오렌지 볼, 마이애미 | 콜롬비아 | 0 – 2 | 브라질 | 카카 2골[3] |
2003년 7월 20일 | 에스타디오 아스테카, 멕시코시티 | 멕시코 | 5 – 0 | 자메이카 | 오마르 브라보, 라파엘 가르시아 토레스, 다니엘 오소르노, 하레드 보르헤티, 후안 파블로 로드리게스 득점[4] |
6. 2. 준결승전
2003년 CONCACAF 골드컵 준결승전은 2003년 7월 23일과 7월 24일에 각각 열렸다.7월 23일, 오렌지 볼에서 열린 미국과 브라질의 경기에서는 브라질이 연장전 끝에 2-1로 승리했다. 미국의 보카네그라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브라질의 카카가 동점골을, 지에구가 페널티킥으로 결승골을 기록했다.[1]
7월 24일, 멕시코시티의 에스타디오 아스테카에서 열린 멕시코와 코스타리카의 경기에서는 멕시코가 2-0으로 승리했다. 마르케스와 보르헤티가 득점했다.[2]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관중 |
---|---|---|---|---|---|
2003년 7월 23일 | 미국 | 1 – 2 (연장전) | 브라질 | 오렌지 볼, 마이애미 | 35,211 |
2003년 7월 24일 | 멕시코 | 2 – 0 | 코스타리카 | 에스타디오 아스테카, 멕시코시티 | 35,000 |
6. 3. 3·4위전
2003년 7월 26일, 미국과 코스타리카의 3·4위전 경기가 마이애미의 오렌지 볼에서 열렸다. 미국이 코스타리카를 3-2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1]미국 3 - 2 코스타리카 | ||
---|---|---|
득점 선수 | 득점 선수 | |
보카네그라 (전반 29분) 스튜어트 (후반 11분) 컨베이 (후반 22분) | 폰세카 (전반 24분, 전반 39분) | |
colspan="3" | |
6. 4. 결승전
2003년 7월 27일, 멕시코의 멕시코시티에 있는 아스테카 경기장에서 2003년 CONCACAF 골드컵 결승전 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에서 멕시코는 브라질을 연장전 끝에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 다니엘 오소르노는 연장 전반 7분에 결승골을 기록했다.[1] 80,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봤으며, 캐나다의 나바로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1]7. 우승
멕시코
4번째 우승